
- 감정, 생각 등을 통해 외부와 접촉하는 행동들의 주체로서 '자신'을 말한다.
우리 일상의 모든 경험(행동, 감각, 사고 등)의 밑바닥에 있는 모든 경험을 통일하여 모든 경험을 하고 있는 바로 그 당사자라고 생각되는 의심할 수 없는 자신을 말한다. '칸트'는 욕망-본능에 의해 살고 있는 경험적인 자아 이외에 도덕적으로 살려는 양심(자신)을 신적인 인간의 본질로 생각하여 '본래적인 자기'라고 불렀다. 카를 융 (심리학자) 은 '원형'으로서의
자기(self, selbst)와 대응되는 자아를 언급한 바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자아 (das lch)'는 정신분석학상의 개념이다. 여기서는 자아에 가세해 '에스'와 '초자아'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또한 미국의 정신분석학에서는, 제임스 스트레이치에 의한 프로이트 번역 전집의 영역 (1953년) 때
자아 (das lch) 는 에고 (ego), 초자아 (Über-Ich) 는 슈퍼 에고(super-ego), 에스(Es)는, 이드(id)로 번역되어 용어로 유포했다.
자아 (das lch)
우리의 심신은 늘 변화하고 성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역시 같은 자신으로 생각하고 타인과 구별하며,
이 동일하다고 의식한 자기를 자아라 한다.
프로이트의 정의에서는 의식을 중심으로 한 자기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1923년 이전까지)
즉 나에게 가까운 것으로서 말해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1923년 이전에는 그가 무의식과 의식의 구별에 의해서
정신을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심리적 구조론으로 불리는 새로운 이론을 1923년 이후 말하게 되고 나서, 자아라는 개념은 '전의식과 의식, 무의식적 방위를 포함한 마음의 구조'를 가르키는 말로써 명확하게 되었다.
'자아'는 '초자아'로부터의 요구와 '에스'로부터의 요구를 받아들여,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게되었다.
무의식적 방위를 실시해, '초자아'의 이상과 금지를 따르거나, 갈등하거나, '에스'로부터의 욕구를 승화-방위하거나 하는 조정적인 존재이다. 전반적으로 말하자면, '자아'는 '초자아'-'에스'-'외계'에 골치는 썩이는 존재로서 그려지는 일이 많다.
'자아'는 의식과는 다른 것으로 어디까지나 구조나 마음의 기능으로부터 정의된 개념이다. 프로이트의 격언으로서는
'자아는 그 자체, 의식되지 않는다' 라는 발언이 있다. 자아의 대부분은 구조나 기능에 의해서 파악되고 있어, 자아가 가장 빈번히 실시하는 활동 중의 하나로서 방위를 들 수 있지만, 이 방위는 인간에게 있어서 대부분이 무의식적이고, 따라서 '자아 = 의식' 이라고 생각하는 곳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덧대어, '의식하는 나'라는 개념은 정신분석학에서 '자기 이미지 혹은 자기'로서 명확하게 구별되고 있다.
한국어에서의 자아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나'라고 동의에 수취되기 쉽지만, 그것은 일상어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만 들어맞는다.
에스 (Es)
에스는 무의식중에 상당하다, 정확히 말하자면, 무의식적 방위를 제외한 욕구, 충동, 감정, 과거에서의 경험이 차 있는 부분이다.
에스는 본능 에너지가 차 있고, 인간의 동기가 되는 '죽음 충동 (공격성), 성욕동 (리비도)'이 발생하고 있다 생각되고 있는 부분이다. 이를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생물학과 임상으로부터 이끌었다. 성욕동은 히스테리 등에서 볼 수 있는 근본적인 에너지로서 죽음충동은 음성 치료반응이라는 현상을 통하여 상정된 것이다. 또 에스는 '유소기'에서의 억압된 욕동이 차 있는 부분이라 설명되는 일도 있다. 이 에스에서는 자아를 통해 모든 욕동이 표현되며 이것을 자아가 승화하거나 방위하거나 하여 조종하는 것이다.
에스는 시상하부의 기능과 간계까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이 에스(Es)라는 말은 '프리드리히 니체'가 사용하여, '게오르구 그로젝크'의 '에스의 책 (Das Buch vom Es)' 등에서 사용된 용어이다. 1923년에 발표한 프로이트의 '자아와 에스'라는 논문으로 그의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초자아 (super-ego)
초자아는 '에스'와 '자아'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이상-양심-금지-윤리관-도덕관-규칙 등을 에스와 자아에게 전하는 기능을 가진다.
엄밀하게는 무의식과 의식의 양쪽 모두에게 나타나고 있고, 의식될 때도 의식되지 않을 때도 있다.
단지 기본적으로는 별로 의식되지 않은 것이므로, 일반적으론 무의식적이라고 여러번 설명된다. 부모의 윤리적인 태도나 이상적인 이미지를 내재화해 형성되므로, '유소기에서의 부모의 선물'이라고 자주 표현된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심리 상태를 통과해 형성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초자아는 자아의 방위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자아가 단독으로 억압을 하거나 방위를 실시하는 것은 드물다고
프로이트에게는 생각되었다. 또 초자아는 에스의 요구를 전하는 역할도 가지고 있어 예를 들면 그것은, 무의식적인 욕구를 부지불식간 중에 초자아의 요구를 통하여 발산되고 있는 경우이다. 그 밖에도 초자아는 '자아이상' 등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자아가 진행되어야 할 이상을 가지고 있다며 생각되고 있다. '꿈'을 가공해 검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프로이트는 어느 때 자아를, 초자아를 통제하는 검열관이나 재판관과 비유하기도 했다.
뇌 과학적 실증은 되어있지 않지만 초자아는 전두엽의 기능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참고 및 출처: WikiPedia
| 심리학의 역사 1 (0) | 2022.08.24 |
|---|---|
| 인간의 심리 - 루시퍼 이펙트 (0) | 2022.08.22 |
| 인간의 심리 - 칵테일 파티 효과 (0) | 2022.08.22 |
| 인간의 심리 - 고전적 조건 (0) | 2022.08.22 |
| 인간의 심리 - 포러 효과 (0) | 2022.08.22 |
댓글 영역